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 아파트 84㎡는 몇 평?
    카테고리 없음 2018. 11. 19. 15:49

    모델하우스를 갈 적마다 느끼는 건데 체감 평수는 안내된 평수보다 좁게 느껴집니다. 베란다 확장을 해도 그 정도라니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를 실감하게 된달까요?




    이저 또한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이 무엇이 다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혼동하기 쉬운 이 부분을 알기 쉽게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 




    공급면적이란 전용면적과 주거전용면적을 합한 것입니다. 전용면적은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는 방, 거실, 주방, 화장실 등을 모두 포함한 쉽게 말해 우리집은 몇 평이다 하는 공간이 전용면적입니다.


    전용면적은 실면적이라고도 이야기하는데, 재미난 건 이 공간에 발코니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 따라서 같은 평수라도 발코니 큰 집은 꿀이죠.


    반면 주거전용공간이란 공동주택에서 다른 세대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. 즉 계단, 복도, 엘리베이터 등이 이 공간에 해당되죠.




    따라서 24평의 아파트를 구입한 경우 실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은 24평이지만 공급면적은 24평이 넘습니다. 


    아파트 분양시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이 같이 표기되는데 전용면적이 59 공급면적이 82 이런 식으로 표현되는 걸 보셨을 껍니다. 그래서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를 이해하셔야 합니다.




    이제 아파트 분양시 더이상 '평'으로 표시를 하지 않습니다. 단위를 통일하기 위해 ㎡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용면적 59㎡가 바로 우리가 흔히 24평이라고 말하는 주택의 전용면적입니다. 실제로 평수로 환산할 경우 17.8평정도입니다.



    그렇다면 공급면적 82㎡는 당연히 나의 주거공간 외에 공용면적 앞에서 말씀드린 엘리베이터, 공용현관, 계단 등이 포함된 면적이겠죠.  82㎡가 바로 평수 환산시 바로 25평이 됩니다.


    그래서 요즘은 평형이란 표현을 쓰게 됩니다. 25평형의 집을 구입해도 실제로 나만의 공간 즉 전용면적은 17평이란 사실 이제 이해하셨나요? 그래서 공급면적은 분양면적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.



    한가지 더 짚고 넘어가자면 베란다가 평수에 포함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습니다. 아닙니다. 이것은 건축법상으로 건축물에 해당되지도 않습니다.


    일면 보너스면적, 서비스면적입니다. 건축법상 정확한 표현은 베란다가 아닌 발코니입니다.  이 서비스 면적에 따라서 집이 더 넓어보이기도 좁아보이기도 합니다.



    이렇게 혼란스럽다면 간단하게 내가 쓸 수 있는 공간이 얼마냐 궁금해하신다면 실면적을 아시면 됩니다. 실면적은 전용면적 + 서비스면적이거든요. 



    이제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를 잘 아셨나요? 저 또한 혼란스러울 때가 많았는데, 함께 공부하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습니다. 이런 지식을 총동원해 내집 마련의 꿈이 빨리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.

Designed by Tistory.